아이들을 키우다 보니 병원에서 받아온 약도 많아졌습니다.
약을 먹다가 괜찮아지면 약을 안 먹이고, 그대로 냉장고에 보관하기도 했습니다.
제 약도 마찬가지로 먹다 남은 약은 나중에 먹으면 되겠지 하고
보관하기도 했지요! 그러다 발견한 약에도 유통기한이 있다!!
유통기한이 있는 약과 복용해도 되는지
남은 약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유통기한 지난 약 복용 및 처리 방법 7>
목차
1. 약도 유통기한이 있다
2. 유통기한 지난 약 복용
3. 유통기한 지난 약 처리 방법
1. 약도 유통기한이 있다
모든 약이나 연고 등에는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유통기한이라는 의미 자체는 유통을 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기한을 두는 걸 의미하지 그 효과가 사라지거나 문제가 생기는 건 아닙니다.
약마다 유통기한이 다릅니다.
연고나 종이 박스에 보관된 경우 3년
병에 든 알약 1년
물약 6개월
약을 보시고 유통기한 확인해 보세요!!
다만,
보관 상태와 관리를 잘 했을 경우에
유통기한 지난 약도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약을 얼마나 잘 보관했는 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그래도,
유통기한 지난 약은 되도록이면
패기 처리를 하고 새로운 약으로 복용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2. 유통기한 지난 약 복용
특히나 아이들 약은 액체나 가루로 된 약들이 많고
성인의 경우에도 알약으로 받아서 복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보관해 두고
나중에 비슷한 증상이 나오면 먹여도 되겠지?
냉장고에 잘 놓아 두었으니 먹어도 되겠지?
라는 생각을 하며 보관하시는 경우가 많으실텐데요~~
조심하셔야 합니다!
아이들이 먹는 액체의 경우 유통기한이 짧고
감기약은 대부분 가루약보다 유통기한이 짧다고 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났다는 의미는
약효도 떨어지고 상했을 확률이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유통기한 지난 약을 복용했을 경우
부작용 위험에 노출이 됩니다.
유통기한을 살펴보지 않고 복용했을 경우
배탈이 날 수도 있고
다른 안 좋은 증상을 겪을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합니다.
3. 유통기한 지난 약 처리 방법
유통기한 지난 약을 일반 쓰레기 봉투나
화장실에 버리는 경우도 있을 것 같지만
절대!
일반 쓰레기처럼 버리면 안됩니다.
약은 환경오염을 일으키며
물이나 자연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변기에 흘려보내면 수질, 토양 오염뿐만 아니라
하수처리장으로 들어간 약 성분들이
수돗물과 섞여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약 처리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게습니다.
1) 약국에 가져가 패기 요청을 한다
- 알약, 가루약 따로 구분해서 모은다.
- 캡슐은 분리해서 쓰레기통에 버린다
- 연고 등의 경우 전용 수거함 이용한다
2) 보건소, 주민센터, 구청 등 공공시설
- 폐의약품 수거함이 설치된 곳에 버리기
*아파트 관리사무소 등에도 폐의약품 수거함이 있습니다.
*유통기한 약은 복용하지 않는 게 좋고
복용했을 경우 변질이 되지 않았는지 조심!
추가 복용은 지양하며, 새로운 약을 처방 받아 먹는 게 좋습니다.
*약국에서 만약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발견하셨다면
보건소에 신고해 주시고
그 약국은 3~30일 사이의 영업정지 처분을 받습니다.
약은 고온, 다습한 곳에 절대 노출 시키지 마시고
서늘한 곳과 습도가 낮은 곳에 보관하는 게 좋습니다.
약을 개봉했을 때 최대한 빨리 먹는 걸 권장합니다.
절대 약을 일반 쓰레기로 버리지 말아 주세요.
폐의약품 수거함에!! 꼭!!!
'유기농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 아스퍼거증후군 원인과 증상 알아보기 (0) | 2022.09.27 |
---|---|
2022년 건강검진 대상자 및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0) | 2022.09.22 |
목감기 빨리 낫는 법과 면역력에 좋은 음식 (0) | 2022.09.13 |
석류의 효능 7가지와 석류 부작용 (0) | 2022.08.30 |
빈혈 원인과 빈혈에 좋은 음식 5가지 (0) | 2022.08.29 |
댓글